본문 바로가기
IT 이야기

모의 해킹대회

by 준샤인 2022. 7. 27.
반응형

  오늘 'WACON 2022' K-사이버 보안 우수기업 및 사이버 모의 해킹대회 시상식이 있었습니다. 이 행사는 다양한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국민과 산업의 자산을 보호할 수 있는 정보보안 전문가(*화이트 해커)를 양성하고,사이버보안 산업 발전에 혁혁한 공로가 있는 모범 사례를 발굴해 공익적 사회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보안성 강화 활성화 캠페인의 일환입니다.

[*화이트 해커(White Hacker); 선의의 목적으로 해킹기술을 사용하는 보안 전문가로 윤리적 해커라고도 함]

 

K사이버보안 우수기업 부문에서는 엄격한 심사를 거쳐 총 11개 기업 및 공로자가 수상의 영광을 안았으며, 모의 해킹대회는 일반부와 청소년팀으로 나뉘어 각각 3팀이 1~3위 수상의 영예를 안았습니다. 무엇보다도 청소년팀의 모습이 눈에 띄었는데, 참 장하고 멋져보였습니다.~ ^^

 

앞서 국가공인 IT자격증 정보 중에서 '정보보안기사' 자격증 취득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는데, 오늘은 간략하게 '모의 해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의 해킹

  : 대상 정보 시스템 자산의 취약점 및 통제 공동(control hole) 내역을 파악하기 위해 해커 및 *크래커들이 사용하는 기법을 이용하는 모의 침투 테스트라고 정의 할 수 있으며, 대상 정보 시스템 자산에 대한 보안 취약점을 파악한 후 개선 사항을 제시하기 위한 것입니다.

[*크레커(cracker); 허가받지 않은 컴퓨터 시스템에 침입하여 정보를 훔치거나 프로그램을 훼손하는 등의 불법 행위를 하는 사람을 일컬으며, 위험한 해커(dangerous hacker)라는 뜻의 '데커(decker)' 또는 흔히 '해커'라고 부름]

 

 

1. 모의 해킹을 담당하는 컨설팅

 

[정보보호 마스터플랜 컨설팅]

구분 Stage 0
(환경 분석)
Stage 1
(Gap Analysis)
Stage 2
(위험 분석)
Stage 3
(마스터플랜)
Stage 4
(사후 관리)
주요업무 업무 환경 분석
● 기업목표 / 서비스 영역
● 조직 구조 파악
● 부서별 업무 기능, 역할
관리 / 물리 부문 G/A
● ISO 27001
● ISMS(KISA)
● 정보통신 기반 시설 요건
● IT경영 실태 평가 항목
현재 위험 평가

적용 통계 평가
현 보안 수준 분석

선진 사례 검토 /
분석 성공 사례
사후 지원
자산 파악
● 정보 시스템 서버 목록
● 네트워크 장비 목록
● 보안 시스템 목록
● Non-IT 자산 목록
기술 부분 G/A
● ISO 27001
● NIST
● SANS
● OWASP
● IT 경영 실태 평가항목

노출 위험 평가

자산별 전체 위험 평가 집계

수행 과제 도출

우선 순위 도출 및 구현 일정 수립
교육 지원
네트워크 시스템 환경 분석     기술 지원
애플리케이션 환경 분석     소요 예산 산정  
정보 보안 환경 분석      
정보 시스템 환경 분석     기대 효과 분석  
비고 업무 분석 표준과의 위험 평가 표준과의 차이 분석 교육 및 기술 이전
자산 분석 Gap Analysis 수행 ● 잔여 위험 선진 사례 적용
가능성 검토
 
환경 분석 ● 관리 / 물리 / 기술 ● 잠재적 위험 보안 수준 도출  
    ● 집계 아카텍처 /
모델 수립
 
      기간 및 예산 선정  
      세부 수행 Active
도출
 

 

모의 해킹은 위 업무 중에서 기술적 부분에 포함되며, 웹 어플리케이션 취약점, 소스 진단, 침해 사고 분석, 취약점 분석,  교육 등을 담당합니다.

 

 

2. 기술적 취약점 진단 서비스 

  •  모의 해킹과 함께 주로 서버, 네트워크 장비, 보안 장비 등 IT자산에 대한 기술적 관점에서의 취약점 진단을 수행하여 보호 대책을 수립하는 서비스
  • 기술적 취약점 진단을 자동화 툴을 이용한 자동 점검과 체크 리스트 및 인터뷰를 통한 수동 점검을 적절히 활용하여 진행함

 

[기술적 취약점 진단]

서버 / 네트워크 장비 - OS 보안 점검
- 운용 현황 점검
- 네트워크 장비 보안 점검
 
보안 시스템 - 보안 시스템 OS 보안 점검
- 구조적 적정성 검토
- 운용 현황 점검
 
애플리케이션 - 애플리케이션의 운용형황 점검
- 주요 인터넷 서비스 점검
 
물리적 취약점 진단 - 전산 시설에 대한 접근 통제 점검
- 전산 시설 및 매체에 대한 관리의 적정성 검토
- 장비 보안 현황 점검
- 일반 통제 현황 점검
- 물리적 보안 시스템 현황 점검
A3-Secure
A3-Zone

A3-Control
A3-Hacking
관리적 취약점 진단 - 보안 정책/ 지침/ 절차의 적정성 점검
- 정보 보안 조직 현황 점검
- 정보 보안 교욱 체계 현황 점검
- 보안 사고 대응 체계 현황 점검
- 비상 계획에 대한 점검
- 보안 감사 체계에 대한 점검
모의 해킹 - 단계별 시나리오 기반의 모의
- 침투 테스트 실시
- 웹사이트 모의 해킹 시도
 

 

 

모의 해킹을 통해 정보보호 컨설팅 및 기술적 취약점 진단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았는데, '정보보안기사'가 무슨 일을 하는지 감을 잡으셨으리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모의 해킹 대회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728x90

'IT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밍 대회 준비1  (0) 2022.07.31
프로그래밍과 수학  (0) 2022.07.29
좋은 코드 작성 원칙  (0) 2022.07.26
취업관련 IT자격증_국제공인  (1) 2022.07.25
취업관련 IT자격증_국가공인  (0) 2022.07.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