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아요!

부동산 관련 앱

by 준샤인 2022. 8. 1.
반응형

2022년 상반기 부동산 시장과 관련 앱 현황

의식주 중 주거 문제는 개인이 힘쓴다고 될 문제가 아닌 국가, 즉 정부가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현안입니다.

2022년 상반기 부동산 시장은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얼어붙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합니다. 그야말로 거래 침체기를 지나고 있는 상황으로서 그나마 거래도 부동산 중개업소를 거치기 보단 직접 거래를 하는 방식으로 바뀌면서 관련 앱의 이용이 더욱 늘고 있다고 합니다.

 

 

부동산 관련 앱 추이 

빅데이터 분석기업 TDI가 지난 6월 기준 부동산 관련 앱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는데, 앱 설치기기수 1위부터 9위까지 그리고 증감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순위 부동산 관련 앱 설치기기수 증감율
1 직방 642만 5천 -1.3%
2 청약홈 375만 4천 -1.6%
3 호갱노노 352만 4천 +2%
4 다방 335만 4천 +0.8%
5 네이버부동산 210만 8천 +8.5%
6 LH청약센터 121만 5천 +4.4%
7 아파트실거래가 81만 7천 +9.5%
8 피터팬의좋은방구하기 59만 4천 -1.2%
9 LH임대분양정보 51만 6천 -0.4%

설치기기수로 보면 '직방'이 642만 5천대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청약홈'이 375만 4천대로 2위 또한 그 뒤를 이어 '호갱노노'가 352만 4천대로 3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증가율을 보면 '아파트실거래가' 약 9.5%의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네이버부동산'이 8.5%, 'LH청약센터'가 4.4%, '호갱노노'가 2%, '다방'이 0.8%로 1월보다 설치자가 늘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럼 올 상반기 부동산 관련 앱 설치기기수 대비 월간 활성사용자(이하 MAU)의 상황도 살펴보면, 동일한 성격의 앱끼리 비슷한 추이를 보였는데, 원룸·오피스텔 등 소형 주택의 전·월세 거래를 주로 다루는 '직방', '피터팬의좋은방구하기', '다방'은 1분기 2~30%대의 MAU비율을 보이다가 2분기에 평균 10%대로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반면 아파트 실거래가, 부동산 시세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네이버부동산', '호갱노노', '아파트실거래가'는 비교적 고른 MAU비율을 나타냈습니다. 이 3개 앱은 모두 지난 6월 각 39%(네이버부동산), 32%(호갱노노), 27%(아파트실거래가)로 다소 하락하는 모양새였으나, '네이버부동산', '호갱노노'의 경우 +-1%, '아파트실거래가' +-4%대의 적은 변화를 보였습니다. 이는 부동산 거래 절벽 상황 속에서 부동산 정보를 조용히 지켜보며 관망하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전세 자금 마련 및 주택담보 대출 등 은행 대출을 끼고 내집 장만의 꿈을 꾸던 분들이 전 정권의 부동산 정책 실패와 연이은금리인상 등으로 시름이 더 깊어지고, 올 상반기 부동산 거래마저 얼어붙게 만들었으니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하루속히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댓글